Amazon Web Services 한국 블로그

Category: Storage

Amazon Redshift Spectrum – S3 데이터에 대한 엑사바이트(Exabyte)급 질의 수행 서비스

이제 몇 번의 클릭만으로 클라우드 기반 컴퓨팅 및 스토리지 리소스를 시작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에, 이러한 리소스를 사용하여 초기 데이터에서 실행 가능한 결과로 최대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이동해야합니다. Amazon Redshift를 사용하면 다양한 내부 및 외부 소스의 데이터를 통합하는 페타 바이트 규모의 데이터웨어 하우스를 구축 할 수 있습니다. Redshift는 대형 테이블에서 복잡한 조인(Join, 여러 조인이 수반되는 경우가 […]

S3 스토리지 관리 기능 업데이트 – 스토리지 분석, 개체 태깅, 인벤토리 및 신규 통계 기능

오늘은 Amazon S3의 새로운 네 가지 기능에 대해 소개합니다. 먼저 저장 내용과 사용량 및 사용 방법을 손쉽게 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S3 스토리지 클래스 선택을 위한 근거 데이터로 의사 결정을 할 수 있습니다. 이는 몇 개의 저장 개체나 수백만개를 가지고 있는 고객 모두에게 유용할 것입니다. S3 분석 기능 – 개체 저장소 및 검색 패턴을 […]

Amazon EBS 업데이트 – 언제나 자유롭게 볼륨 유형 및 크기 변경 가능

AWS 고객은 서비스를 시작한 후, 사용자 트래픽 및 데이터 사이즈가 증가함에 따라 기존 볼륨을 수정하여 용량을 추가하거나 I/O 성능 특성을 변경해야 할 경우가 생깁니다. 이를 변경하기 위해, 24시간 운영하는 서비스를 중단하는 않고도 바로 변경하고 싶다는 요구 사항을 많이 받았습니다. 특히, AWS는 몇 해에 걸쳐 다양한 케이스를 지원하는 신규 EBS 볼륨 타입을 제공했습니다. 이를 통해 운영 […]

Amazon EFS 업데이트 – Direct Connect를 통한 온-프레미스와 VPC 연동 기능

작년에 Amazon Elastic File System에 대한 출시 예고ㅇ후에 올해 초 3개 리전에 우선 정식 출시가 되었습니다. 정식 출시 후 많은 고객들이 클라우드 내 공유 파일 스토리지를 사용해 오고 있습니다 오늘 EFS를 AWS Direct Connect를 통해 온-프레미스 환경에서도 좀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출시하게 되었습니다. 이 기능 역시 많은 고객들이 그동안 데이터 이전을 하는 동안 […]

AWS Snowball Edge – 클러스터링 및 용량 추가, 로컬 엔드포인트와 Lambda 함수 지원

작년에 AWS Snowball을 출시(블로그 참고) 한 뒤, 많은 업데이트가 있었습니다. 물리적 50TB 데이터 전송 저장 장치로 보안 및 운송의 편리성을 통한 클라우드 데이터 이동에 대한 아주 간단한 해법으로서  그 이후에도, 용량 확대 및 리전 추가 지원 (80 TB), 작업 관리 API 및 S3 어댑터, HIPAA 호환, HDFS 가져오기 지원 등의 업데이트가 이루어졌습니다. 위의 모든 개선 […]

AWS 스토리지 업데이트 – S3 및 Glacier 가격 인하 및 Glacier 추가 추출 옵션

2006년 Amazon S3 공개를 통해 “사용한 만큼 지불한다”는 비용 모델과 함께 1GB당 월 15센트의 가격 체계를 처음 공개하였습니다. 10년 동안 처음 가격에서 80% 인하 되어 글로벌 전체 리전에 적용되었습니다. 또한, 정적 웹 호스팅, VPC 연동, IPv6 지원, S3 Infrequent Access 옵션 등의 기능을 추가했습니다. 많은 AWS 고객이 법적 혹은 업무 규정에 따라 중요한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

EBS 스냅샷을 위한 신규 CloudWatch Events: 백업 자동화 구현하기

클라우드 컴퓨팅을 통해 부족한 지식으로 만들어진 기존 IT 운영 매뉴얼(runbook)을 자동화함으로서 운영 방식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작업 중 상당수는 백업 및 복구 작업이며, 특히 소규모 조직에서는 큰 부담이 되고 있습니다. 많은 AWS 고객들이 Amazon Elastic Block Store (EBS) 볼륨을 사용하면서, 스냅샷 백업 생성 및 관리를 하고 있습니다. 이들 스냅샷을 리전간 복제를 하여 운영 혹은 […]

Amazon Aurora 업데이트 – Lambda Function 호출 및 S3 데이터 읽기 지원

AWS 서비스들은 그 자체만으로도 훌륭하지만, 서로 결합함으로써 더욱 다양한 서비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저희의 서비스 모델은 각 서비스를 선택하여 학습하여 경험을 쌓은 다음, 다른 서비스와 결합 및 확장하는 레고블럭을 조립하는 것 같은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각 서비스를 다양하게 활용할 기회와 함께 고객의 요구에 따라 서비스 로드맵에 반영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와 관련하여 MySQL 호환 관계형 […]

IPv6 지원 업데이트 – CloudFront, WAF 및 S3 Transfer Acceleration

최근 Amazon S3 IPv6 지원 발표 이후, 이번에는 Amazon CloudFront, Amazon S3 Transfer Acceleration 및 AWS WAF와 60개가 넘는 모든 CloudFront 엣지 로케이션에서도 IPv6 지원이 이용 가능합니다. AWS는 모든 자율 시스템 네트워크(ASN)에서 IPv6를 활성화하기 위한 단계적 마이그레이션 프로세스를 오늘부터 시작하고, 앞으로 몇 주에 걸쳐 모든 네트워크에서 확장 할 예정입니다. CloudFront IPv6 지원 이제 각 Amazon […]

Amazon S3, IPv6 주소 지원 시작

오늘 부터 Amazon S3 버킷에 “dual-stack” 엔드포인트를 통해 IPv6 주소를 제공합니다. DNS 조회를 할 경우, “A” 레코드에 대해서는 IPv4, “AAAA” 레코드에 대하서는 IPv6 주소를 반환합니다. 클라이언트 환경에 따라, 자동적으로 AAA 주소를 선호해서 IPv6 주소로 연결하게 됩니다. IPv6f를 통한 S3 접근하기 IPv6로 S3내 콘텐츠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듀얼 스택 엔드포인트로 접근해야 합니다. http://BUCKET.s3.dualstack.REGION.amazonaws.com 또는 http://s3.dualstack.REGION.amazonaws.com/BUCK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