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azon Web Services 한국 블로그

Category: Amazon Simple Storage Service (S3)

Sprinklr의 AWS 리전간 대용량 재해 복구 구축 사례

Sprinklr에서 통합된 고객 경험 관리 플랫폼을 통해 세계에서 가장 큰 브랜드 기업들의 마케팅, 광고, 조사, 관리, 상거래를 지원합니다. Facebook, Twitter, LinkedIn 및 전 세계 22개 기타 소셜 채널과 통합된 당사 플랫폼은 수천 개의 서버를 사용하고, 페타바이트 단위의 데이터를 조사하고, 매일 수십억 건의 트랜잭션을 처리합니다. Twitter 하나만 해도 하루에 몇 억 개의 트윗을 처리해야 합니다. 매일 […]

Amazon S3 및 AWS Glue를 이용한 데이터 레이크 구축하기

데이터 레이크(Data Lake)는 다양한 유형의 대량 데이터를 처리해야 하는 과제를 해결하는 데이터 저장 및 분석 방법으로서 점차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데이터 레이크를 사용하면 모든 데이터(정형 및 비정형)를 중앙 집중식 리포지토리 한 곳에 저장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를 있는 그대로 저장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를 사전 정의된 스키마로 변환할 필요가 없습니다. 많은 기업들은 데이터 레이크에서 Amazon S3를 사용하는 […]

Amazon S3 신규 기본 암호화 및 보안 기능 업데이트

지난 2006년 S3를 발표했을 때, “각 블록은 ACL(액세스 제어 목록)로 보호되기 때문에 개발자가 원한다면 데이터를 프라이빗 데이터로 유지해도 되고, 읽을 수 있는 데이터로 공유해도 되고, 읽고 쓸 수 있는 데이터로 공유해도 된다”라고 알려드렸습니다. 접근 권한 부여를 위한 ACL과 프라이빗 버킷을 적용했던 바로 그 첫 번째 모델부터 우리는 필요에 따라 고객 및 파트너와 데이터를 공유하는 동시에 […]

AWS Config 업데이트 – S3 버킷 보안을 위한 두 가지 관리 규칙 추가

AWS Config는 AWS  자원 상태와 그 사이 관계를 계속 모니터링 하는 서비스입니다. 각 서비스 자원을 선택한 다음, 자원에 영향을 주는 구성 변경 타임 라인을 볼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AWS Config와 AWS 자원 관계 추적을 참조하십시오). AWS Config rules은 AWS Config의 “관리형” 컬렉션과 사용자가 직접 작성한 사용자 정의 규칙을 지원하는 강력한 규칙 시스템으로 확장합니다 (AWS […]

Amazon Redshift Spectrum – S3 데이터에 대한 엑사바이트(Exabyte)급 질의 수행 서비스

이제 몇 번의 클릭만으로 클라우드 기반 컴퓨팅 및 스토리지 리소스를 시작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에, 이러한 리소스를 사용하여 초기 데이터에서 실행 가능한 결과로 최대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이동해야합니다. Amazon Redshift를 사용하면 다양한 내부 및 외부 소스의 데이터를 통합하는 페타 바이트 규모의 데이터웨어 하우스를 구축 할 수 있습니다. Redshift는 대형 테이블에서 복잡한 조인(Join, 여러 조인이 수반되는 경우가 […]

S3 스토리지 관리 기능 업데이트 – 스토리지 분석, 개체 태깅, 인벤토리 및 신규 통계 기능

오늘은 Amazon S3의 새로운 네 가지 기능에 대해 소개합니다. 먼저 저장 내용과 사용량 및 사용 방법을 손쉽게 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S3 스토리지 클래스 선택을 위한 근거 데이터로 의사 결정을 할 수 있습니다. 이는 몇 개의 저장 개체나 수백만개를 가지고 있는 고객 모두에게 유용할 것입니다. S3 분석 기능 – 개체 저장소 및 검색 패턴을 […]

AWS 스토리지 업데이트 – S3 및 Glacier 가격 인하 및 Glacier 추가 추출 옵션

2006년 Amazon S3 공개를 통해 “사용한 만큼 지불한다”는 비용 모델과 함께 1GB당 월 15센트의 가격 체계를 처음 공개하였습니다. 10년 동안 처음 가격에서 80% 인하 되어 글로벌 전체 리전에 적용되었습니다. 또한, 정적 웹 호스팅, VPC 연동, IPv6 지원, S3 Infrequent Access 옵션 등의 기능을 추가했습니다. 많은 AWS 고객이 법적 혹은 업무 규정에 따라 중요한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

Amazon Aurora 업데이트 – Lambda Function 호출 및 S3 데이터 읽기 지원

AWS 서비스들은 그 자체만으로도 훌륭하지만, 서로 결합함으로써 더욱 다양한 서비스를 만들 수 있습니다. 저희의 서비스 모델은 각 서비스를 선택하여 학습하여 경험을 쌓은 다음, 다른 서비스와 결합 및 확장하는 레고블럭을 조립하는 것 같은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각 서비스를 다양하게 활용할 기회와 함께 고객의 요구에 따라 서비스 로드맵에 반영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와 관련하여 MySQL 호환 관계형 […]

IPv6 지원 업데이트 – CloudFront, WAF 및 S3 Transfer Acceleration

최근 Amazon S3 IPv6 지원 발표 이후, 이번에는 Amazon CloudFront, Amazon S3 Transfer Acceleration 및 AWS WAF와 60개가 넘는 모든 CloudFront 엣지 로케이션에서도 IPv6 지원이 이용 가능합니다. AWS는 모든 자율 시스템 네트워크(ASN)에서 IPv6를 활성화하기 위한 단계적 마이그레이션 프로세스를 오늘부터 시작하고, 앞으로 몇 주에 걸쳐 모든 네트워크에서 확장 할 예정입니다. CloudFront IPv6 지원 이제 각 Amazon […]

Amazon S3, IPv6 주소 지원 시작

오늘 부터 Amazon S3 버킷에 “dual-stack” 엔드포인트를 통해 IPv6 주소를 제공합니다. DNS 조회를 할 경우, “A” 레코드에 대해서는 IPv4, “AAAA” 레코드에 대하서는 IPv6 주소를 반환합니다. 클라이언트 환경에 따라, 자동적으로 AAA 주소를 선호해서 IPv6 주소로 연결하게 됩니다. IPv6f를 통한 S3 접근하기 IPv6로 S3내 콘텐츠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듀얼 스택 엔드포인트로 접근해야 합니다. http://BUCKET.s3.dualstack.REGION.amazonaws.com 또는 http://s3.dualstack.REGION.amazonaws.com/BUCKET […]